-
ChatGPT 와 Bing AI 의 차이점 이해하기IT,인터넷정보 2023. 3. 7. 20:10728x90반응형
이번 블로그에서는 ChatGPT와 Bing AI 두 인공지능 모델이 어떤 것인지 이해하기 위한 차이점에 대하여 살펴보겠습니다.
ChatGPT / Bing AI ChatGPT
https://openai.com/ ChatGPT는 사용자와 대화하면서 질문에 대한 답변을 생성하는 대화형 인공지능 AI입니다. OpenAI에서 개발한 이 모델은
"GPT"라는 딥러닝 기술을 사용하여 텍스트를 생성하는 모델로, 사용자의 다양한 질문을 인공 신경망을 자연어 이해 및 생성에 대한 성능을 높인 모델입니다.
※"GPT"란 - 텍스트를 생성하는 딥러닝 모델로, Generative Pre-trained Transformer의 약어입니다.Bing AI
https://www.bing.com/ Bing AI는 Microsoft가 개발한 인공지능 챗봇으로, ChatGPT에서 사용된 딥러닝 모델을 검색엔진에 적용하였습니다.
Bing AI는 21년도 이전의 문서로 학습된 ChatGPT와는 다르게 현재 인터넷 정보를 검색하여 더 최신화된 정보를 기반으로 답변을 출처와 함께 제공합니다.
ChatGPT 장점
ChatGPT는 발표된 이후, 많은 반응을 받으며 인스타그램과 틱톡보다 빠르게 1억 구독자를 달성했습니다. 이 인공지능 모델은 다양한 국가의 언어로 번역이 가능하며, 높은 수준의 자연어 이해 능력을 보여줍니다.
ChatGPT는 사용자의 의도를 파악하여 적절한 답변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강남역에서 서울역까지 지하철 몇 호선 타면 가나요?" 라고 물어볼 경우, ChatGPT는 "강남역에서 서울역까지 가려면 2호선을 타고 이동하면 됩니다. 강남역에서 2호선을 타고 시청역에서 1호선으로 환승한 후, 서울역에서 하차하시면 됩니다."와 같이 정확한 답변을 제공합니다.
또한, ChatGPT는 다양한 주제에 대한 지식을 보유하고 있어서, 글의 흐름을 이해하고 특정 주제에 대한 대화를 이어나가는 데 있어서 강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장점들은 최근 글 작성 분야에서 큰 성과를 거두고 있습니다. 이러한 특징들을 바탕으로 ChatGPT는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으며, 높은 수준의 글 작성 능력을 보유한 글쓰기 도우미로서 많은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ChatGPT 단점
하지만, 많은 단점들이 발견되고 있습니다.
ChatGPT는 2021년 이전의 문서들을 학습하였기 때문에, 현재 기준의 질문에 대해서는 정보가 없는 경우가 있습니다. 따라서, 정확한 답변을 제공하지 못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대통령 답변 예 또한, ChatGPT는 대화형 인공지능으로서 글을 생성할 때, 가장 그럴듯한 글을 작성하게 됩니다. 이는 잘못된 정보를 전파할 가능성이 높은 상황을 만들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아래 그림과 같이 잘못된 정보가 생성될 수 있습니다.
잘못된 정보로 답변된 예 또 다른 문제점으로 ChatGPT의 데이터 학습에는 편향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만약 학습 데이터가 오염된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면, ChatGPT는 이를 학습하여 편향된 응답을 보일 수 있습니다. 이러한 편향성은 심각한 문제가 될 수 있다고 보여집니다.
Bing AI 장점
Bing AI는 마이크로소프트에서 구글 검색 엔진을 경쟁하기 위해 개발한 검색 엔진으로, ChatGPT와 같은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하여 다양한 채팅과 검색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Bing AI는 ChatGPT에서 발생한 문제점에 대응하기 위해 웹 검색 결과를 기반으로 정확하고 다양한 답변을 제공합니다.
최근에는 오픈AI가 개발한 새로운 언어 모델인 프로메테우스를 Bing 검색 엔진에 도입하여 기존의 ChatGPT에서 발생했던 문제점에 보다 더 정교하고 최신의 데이터를 반영하며 대화 및 검색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놀라운 점은 Microsoft Edge 브라우저를 통해 PDF 파일을 요약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이 기능을 이용하면 긴 문서를 간단하게 요약하여 빠르고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기술은 빅데이터 분석과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으로 가능해졌으며, 우리의 일상생활에서 다양한 형태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테스트를 위해 Bing AI에게 통계청의 "2022년 하반기 지역별고용조사 시군구 주요고용지표"를 요약해 달라고 부탁해 보았습니다.
지역별고용조사 PDF PDF요약본 링크된 PDF 문서를 첨부하고 "문서를 요약해 줘"라고 요청하니 얼마 걸리지 않아 해당 문서를 요약 후 답변을 내놓았습니다.
여기에 추가하여 "9월 소비자물가지수를 표로 그려 줄 수 있어?"라고 다시 요청을 하니 “9월 소비자물가지수 표” 검색하여 표를 작성하고 출처등을 아래 표기하는 모습을 보여줍니다.9월 소비자물가지수 표 제작 사진 Bing AI는 ChatGPT와 달리 과거의 내용이 아닌 현재의 정보를 검색하여 답변을 제공합니다. Bing AI는 웹 검색 결과를 활용하여 사용자의 요구에 맞는 최신의 정보를 찾아내고, 그 정보를 요약하거나 설명하거나 비교하거나 분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현재의 정보로 여행일정 등을 대신 만들어주는 등 많은 기능을 선보이고 있습니다.
여행 스케줄 결과 사진
Bing AI 단점
하지만, 그만큼 단점도 존재합니다. 예를 들어, ChatGPT는 주제에 대한 대화가 무제한이라고 볼 수 있지만, Bing AI는 현재 하나의 주제에 대해서는 8번의 제한이 있습니다. 이는 상세한 정보 파악에 있어서 상당한 약점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Bing AI는 인터넷 검색 결과에 의존하기 때문에 가끔씩 정확하지 않은 블로그 내용을 참고하여 결과를 내놓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점은 사용자에게 신뢰성이 떨어지는 인공지능 모델로 인식될 수 있으며, 따라서 Bing AI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은 항상 결과를 검증해야 할 필요성이 있습니다.
블로그 출처 예시 또한, 블로그나 웹사이트를 운영하는 사람들에게는 상당한 위험이 될 수 있습니다. 특히 Bing AI의 경우, 블로그나 웹사이트를 무분별하게 크롤링할 경우, 이는 검색 결과의 정확성을 떨어뜨리고, 블로그나 웹사이트의 유입률을 줄일 수 있습니다.
무분별한 크롤링으로 인해 블로그나 웹사이트의 검색 엔진 최적화(SEO) 노력이 무색해질 수 있습니다. 블로그나 웹사이트의 컨텐츠가 검색 엔진 결과 페이지(SERP)에서 여러 번 중복해서 나타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되면, 검색 엔진에서 블로그나 웹사이트의 신뢰성이 떨어지며, 유저들의 검색 결과 선택 가능성도 줄어들게 된다 생각됩니다.
마무리
이번 글을 작성하기 최근 AI 기술을 경험해 보면서 급격히 발전하는 이 기술들이 인간들에게 미칠 영향에 대한 걱정이 들었습니다. 빠르게 변화하는 세상에서는 저희도 그 속도에 적응하기 위해 AI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기술을 알아야 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하여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고자 글을 작성해 보았습니다.
참고글
2023.03.04 - [IT,인터넷정보] - 프롬프트 지니: ChatGPT 자동번역 프로그램 사용 방법
프롬프트 지니: ChatGPT 자동번역 프로그램 사용 방법
크롬 브라우저에서 ChatGPT를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확장프로그램 '프롬프트 지니' 사용가이드 블로그를 작성해보겠습니다. ChatGPT를 원활하게 사용하기 위해서는 영어로 질문하는 것이 좀
bangadrum.tistory.com
2023.03.02 - [IT,인터넷정보] - 구글 검색에서 ChatGPT 사용하기 - ChatGPT for Google
구글 검색에서 ChatGPT 사용하기 - ChatGPT for Google
이번 포스트에서는 요즘 핫하다는 대화형 AI인 ChatGPT를 크롬 브라우저에서 사용하는 방법에 대한 가이드를 작성해 보습니다. 크롬 웹 스토어에서 제공되고 있는 확장 프로그램을 이용해 ChatGPT를
bangadrum.tistory.com
2023.03.15 - [IT,인터넷정보] - GPT-4 발표: ChatGPT와 비교해서 어떤 발전이 있었을까?
GPT-4 발표: ChatGPT와 비교해서 어떤 발전이 있었을까?
안녕하세요. 오늘을 인공지능(AI) 챗GPT 개발사인 오픈AI가 14일(현지시간) 대규모 AI 언어 모델(LLM)인 'GPT-4' 출시를 발표를 했습니다. 그럼 오픈AI의 홈페이지를 통해 무엇이 달려졌는지 빠르고 간
bangadrum.tistory.com
반응형